2025년 8월, 일부 극우 커뮤니티에서 '좌파 연예인 블랙리스트 최신판'이라 불리는 사진이 퍼지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연예인 개인의 정치 성향이나 사회 참여 활동을 이유로 명단을 만들고 공유하는 행위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명단에는 정치적 메시지를 내거나 관련 행사에 참석한 다수의 대중문화 인물들이 포함되어, 대중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블랙리스트 논란, 이번엔 왜 다시 떠올랐나
2025년 8월 18일, '자유우파 미국정치갤러리'라는 커뮤니티에 올라온 ‘좌파 연예인 블랙리스트 2025ver’ 이미지는 온라인 상에서 빠르게 확산됐습니다. 이미지에는 유명 연예인 30여 명의 얼굴 사진과 함께 ‘좌파 성향 이유’가 적혀 있었습니다.
기재된 사유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집회 지지 ▲탄핵 찬성 커피 선결제 ▲이재명 대통령 국민 임명식 참석 ▲광복절 전야제 무대 출연 등으로, 대부분 정치적 의사표현 또는 문화행사 참여와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어떤 연예인들이 리스트에 포함됐나
탄핵 집회 참여 또는 지지
아이유, 뉴진스, 유리(소녀시대)는 2024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집회 당시 커피 선결제와 같은 간접적 지지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포함됐습니다. 특히 아이유는 집회 관련 커뮤니티 내에서 ‘행동하는 연예인’으로 언급되며 비판과 지지를 동시에 받았습니다.
고아성, 박보영, 규진(엔믹스), 슈, 이동욱, 이종석, 이채연 등도 SNS 게시글이나 현장 참여, 응원 발언 등이 이유로 명단에 올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국민 임명식 참석
정치인 공식행사에 참석한 연예인들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정은지, 산들, 이즈나, 우정잉, 강지영 등은 2025년 이재명 대통령 국민 임명식 현장에 있었고, 이 모습이 보도되며 ‘정치적 편향’이라는 프레임이 씌워졌습니다.
광복절 전야제 참여 및 문화 활동
싸이, 거미, 폴킴, 10cm, 다이나믹듀오, 크라잉넛 등은 지난 8월 14일 광복절 전야제 콘서트 무대에 오른 이유로 ‘좌파 성향’으로 분류됐습니다. 특히 싸이는 ‘무대 위 메시지가 정치적이었다’는 이유로 언급됐지만, 정작 해당 무대는 문화 행사로 기획된 것이었습니다.
기타 행동으로 분류된 사례
배우 조진웅, 최민식은 시민 탄핵 집회에 대한 긍정적 발언, 사진전 관람 등의 사유로, 방송인 유재석, 박명수는 2024년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판한 발언이 이유로 적시됐습니다.
대중 반응과 법적 논의
해당 명단은 대중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일부는 “개인의 정치 표현까지 블랙리스트로 분류하는 건 표현의 자유 침해”라고 비판하며, 명예훼손, 인권침해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부 커뮤니티에선 “공인이면 공적 판단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현재로선 단순 커뮤니티 기반 행위로 분류되고 있으며, 법적 조치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정리 및 향후 우려
정치 성향을 이유로 연예인을 분류하고 낙인찍는 행위는 팬덤, 연예계 관계자, 법조계 모두에서 부정적 시선을 받고 있습니다.
정치적 표현의 자유와 대중문화인의 사회참여 사이의 경계는 더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개인 신상이 무분별하게 공유되고 편향된 정보로 오해를 받는 구조는 개선이 필요합니다.
당사자들이 직접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향후 법적 대응이나 사생활 보호 이슈로 번질 수 있어 귀추가 주목됩니다.
2025년 8월, 일부 극우 커뮤니티에서 돌고 있는 ‘좌파 연예인 블랙리스트 최신판’이 논란을 불러왔습니다. 정치적 성향을 이유로 연예인을 낙인찍는 이 행위는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과 함께, 과거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태와의 유사성까지 언급되며 공론화되고 있습니다.
리스트 확산과 대중 반응
‘자유우파 미국정치갤러리’ 커뮤니티에서 공유된 해당 명단에는 아이유, 뉴진스, 유리 등 다수 연예인이 포함됐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집회 지지 또는 이재명 대통령 임명식 참석 등이 주요 사유로 적시됐습니다.
대중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입니다. “정상적인 사람들까지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고, 반면 일부 극우 누리꾼은 “CIA에 신고하자”는 급진적 발언도 이어졌습니다
표현의 자유 논란과 과거 블랙리스트 사례
이와 유사한 예는 과거에도 있었습니다. 2010년대 중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는 정부 차원의 예술인 사찰 및 지원 배제로 이어져 헌법상 표현의 자유 침해로 꼽혔고, 문체부 고위관계자들이 처벌 받은 바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과거 사례가 반복되는 것을 경계하면서, “정치적 의사표현과 문화예술인의 사회참여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현재 법적 쟁점과 향후 전망
현행법상 표현의 자유는 보장되지만, 허위사실이나 악의적 낙인은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과거 사례처럼 실제 법적 대응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다만 이번 사안은 커뮤니티 기반의 자발적 유포에 그치고 있어, 현재로선 법적 조치보다는 사회적 비판과 인식 개선이 중심이 될 전망입니다.
정리·제언
연예인의 정치적 표현까지 블랙리스트로 분류하는 행위는 표현의 자유와 사생활 존중의 관점에서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개인 신상이나 정치 성향을 이유로 타인을 낙인찍는 문화는 민주사회에서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팬덤, 언론, 플랫폼 운영자 모두가 이 문제에 민감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향후 동일한 논란이 반복되지 않도록 연예인 사회참여 관련 윤리 기준 마련 및 문화예술 정책의 제도적 개선도 함께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조국 출소 미쉐린 한우집 된장찌개 서민 코스프레 논란
조국 출소 후 SNS에 올린 된장찌개 영상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미슐랭 한우집에서 식사했음에도 된장찌개만 보여준 것이 ‘서민 코스프레’라는 비판으로 번진 건데요. 단순한 음식 한 장면
health.realxlcld.com
24시간 단식 전후 식사 살 빠지는 원리 여배우 비법
24시간 단식 살 빠지는 원리 여배우 비법 24시간 단식이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하셨나요?최근 유튜브 채널 ‘GrowFit Health’가 단식 중 몸의 변화를 45초 애니메이션으로 시각화해 화제가 됐
health.realxlcld.com
'Today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신청방법 (2) | 2025.08.29 |
---|---|
카공족 뜻 민폐 모음 설마 이렇게까지 한다고? (2) | 2025.08.22 |
조국 출소 미쉐린 한우집 된장찌개 서민 코스프레 논란 (3) | 2025.08.19 |
택배없는날 쿠팡만 배송 우체국 CJ 롯데 로젠 한진 휴무 (3) | 2025.08.15 |
홍윤화 망원동 홍뎅 오픈 위치 가격 메뉴 후기 (4) | 2025.07.31 |